본 연구실의 주 연구 과제는 바이러스의 발암 기전이다. 이를 위하여 발암 바이러스인 Epstein Barr Virus (EBV)와 숙주세포에서 발현되는 단백들과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고, 면역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분자 유전학적 발병 기전 해석 및 이를 응용한 숙주세포 활성화 물질을 개발하는데 방향을 맞추어 연구하고 있다.
-
- EBV와 호치킨씨 임파종
- EBV 바이러스는 현재 호치킨씨 임파종, Burkitt 임파종, NK/T 세포 임파종,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esease, nasal pharyngeal carcinoma 등의 발암 원인인자로 지목되고 있는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의 활성이 숙주세포 의 조절 단백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은 이미 널리 보고가 되어 있는데, 특히 EBV 바이러스는 각종 암에서 잠복상태에 따라 바이러스 유전자들이 독특한 발현 양상을 보이고 있다. EBV 바이러스의 잠복기 분류에 대하여는 학자들 마다 논란이 있으나 주로 바이러스 발암유전자의 하나인 LMP1은 잠복기 2기에 다량 발현된다고 알려져 있는데, 서구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악성 임파종 중의 하나로 종양의 40% 이상에서 EBV가 발견되고 있는 호치킨씨 병의 H-RS세포의 경우 EBV 잠복기 2기의 대표적인 예이다. 현재 대표적인 LMP1 유도 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EBV-EBNA2는 H-RS세포에서 발현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 종양세포에서의 LMP1 유전자 과발현이 어떻게 유도되는지는 현재 많은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다.
-
- 호치킨씨 임파종과 CD99
- 흉선 특이 세포막 항원 CD99는 면역 세포의 사멸 신호전달 및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뉴잉육종과 같은 악성 신경종양의 표지인자로 사용되기도 하여 면역 신경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항원이다. 호치킨씨병과 세포 단백인 CD99의 관계 분석 연구는 호치킨씨병의 암세포인 H-RS 세포에서 CD99 발현이 낮게 나타나는 현상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본 연구실에서는 EBV LMP1에 의한 CD99 유전자 조절기전, CD99의 억제가 유도하는 H-RS세포 생성 기전, CD99와 LMP1의 상호 조절 가능성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LMP1의 CD99 억제현상과 CD99 프로모터 부위의 hypermethylation과 관계, Protein Kinase C에 의한 CD99 카복실 말단의 인산화, 또한 CD99와 LMP1이 서로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상호 유전자 발현에 대한 조절작용 등이 존재하는지 등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
- CD99 유전자 family
-
현재, 최신 생명과학 정보 시스템의 발달로 기능 유전체학을 이용하여 각 연구에 필요한 유전자를 탐색하는 기술은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데, data mining 기술을 통하여 최근 CD99의 paralog인 CD99 antigen-like 2 (CD99L2) 클로닝에 성공하였다. 앞으로 CD99L2 유전자의 발현기전에 대한 연구는 기원이 다른 세포주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발현 양상과 이러한 발달 단계에 따라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CD99L2의 조절 기전에 관계되어있는 상위와 하위조절인자들을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으며, 이 유전자가 진화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다양한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CD99 유전자 family의 구성원이라는 점을 종합하여 볼 때, 유전자들의 networking을 통한 삼차원적인 분석결과를 추론 가능하게 하여 세포의 여러 가지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CD99 family의 새로운 신경 및 면역학적 의미와 상호 조절 기전들에 대한 정보 제공의 효과가 사료된다. 이는 또한 각종 퇴행성 뇌질환이나 신경모세포기원의 치료에도 중요한 의미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