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생태학적 프로세스에 의한 탄소 Flux측정
-
생태계를 구성하는 여러가지 생물 활동의 결과, 탄소나 질소 등의 물질은 생태계의 생물 상호간, 그리고 그를 둘러싼 환경요소를 순환한다. 물질순환에 관한 연구는 물질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생물과 환경과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
- 다양한 생태계의 물질순환 연구
-
초원 생태계, 농지생태계, 산림생태계를 포함하는 육상 생태계에 있어서의 탄소 및 질소의 순환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국내의 삼림, 초원, 농지 뿐만 아니라 중국 및 일본의 초원과 삼림을 대상으로 식생천이에 동반한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및 물질순환의 변화, 생태계 수준의 탄소수지의 계절적 변화 및 연변화를 일으키는 메카니즘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식물의 환경 응답과 적응 전략에 관한 연구
-
능동적 공간이동이 불가능한 식물은 환경에 대해 다양한 형태, 생리, 생태적으로 적응하는 형태로 진화하여 왔다. 이러한 식물의 적응전략을 밝혀내기 위해 다양한 환경조건하에 형성되어 있는 개체군의 생태학적 관찰과 환경에 대한 응답을 조사한다. 군락의 미기상 환경변화에 대응한 식물의 물질과 에너지 획득전략에 대한 적응기작을 조사한다. 또한 지리적 분포(생활환의 차이)와 식물계절과 생리적 특성과 같은 적응 진화와의 관련성을 밝힌다.
-
- 온난화에 의한 식물생장과 식생변화
-
현재, 대기의 CO2농도는 년 1.5ppm 정도의 속도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대기의 CO2농도 증가는 식물의 광합성 속도를 높혀 물질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광합성 효율에 중요한 물리적 환경 요인인 온도 환경의 변화, 즉 온난화를 유발하는 원인 물질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커다란 지구적 환경변화가 식물의 광합성과 생장, 식물계절, 종자생산 등과 같은 생리 생태적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그러한 영향으로 인해 현재의 지리적인 종의 분포형태가 어떻게 변할 것 인가를 검토한다.
-
- 식물의 기능성 물질 추출에 관한 연구
-
식물은 다양한 환경변화와 끈임없는 가해자로부터의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다양한 물질을 생산, 분비하며 또한 식물체 내에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식물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의학적 수단으로 또는 공업적 수단으로서 대단히 가치성 높은 유용한 물질인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고유 식물종을 대상으로 인간에게 이용 가능성이 높은 천연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종을 선별하여 최적의 생육조건 탐구와 유용성 높은 특정한 물질이 다량 생산되는 환경조건을 찾아낸다.